편집자주 기후위기가 심각한 건 알겠는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일상 속 친환경 행동이 정말 효과가 있는지 모르겠다고요? 열받은 지구를 식힐 효과적인 솔루션을 찾는 당신을 위해 바로 실천 가능한 기후행동을 엄선해 소개합니다. 지난 8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의 3층 높이 상가 건물 옥상에서 조윤석 십년후연구소장이 열화상 카메라로 각각 흰색과 녹색으로 나뉘어진 옥상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홍인택 기자 더운 여름, 흰 옷을 입으면 더 시원하다는 이야기 들어보셨죠? 여름에 주차된 차를 만졌을 때, 흰색 차가 어두운 색 차보다 덜 뜨거운 걸 느끼신 적 있나요? 흰색이 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생긴다는 설명을 학교 과학시간에 들어보셨을 겁니다.그럼 건물은 어떨까요? 마찬가지로 흰색으로 칠한 건물일수록 빛을 반사해 시원하겠죠. 건물의 벽면 중 가장 높은 곳에서 오랜 시간 빛을 쐬는 '옥상'을 흰색으로 칠해서 기온을 낮추자는 '쿨 루프(cool roof)' 운동도 여기서 착안했습니다. 각자 사는 집의 옥상을 희게 칠하면 냉방비를 아끼는 걸 넘어 전력 생산에 드는 탄소까지 감축하는 기후행동이 되겠지요.열화상 카메라로 찍어보니...확연한 차이서울의 낮 최고 기온이 인간의 체온을 넘어서 37.8도까지 올랐던 지난 8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에 위치한 3층 높이 상가 건물에서 옥상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 이 건물은 옥상의 절반은 흰색 페인트로 덧칠됐고, 나머지 절반은 녹색의 방수 페인트가 칠해져 있습니다. 반쪽을 점유한 건물주를 설득해 흰색 페인트를 칠한 건 '쿨 루프 전도사'인 조윤석 십년후연구소장입니다. 조 소장은 미국 뉴욕시의 '화이트 루프(white roof)' 캠페인에 착안해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재직 당시인 2014년부터 서울시와 협업해 쿨 루프 운동을 시작한 환경운동가로, 이날 온도 측정을 도왔습니다. 지난 8일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의 상가 건물 옥상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관측한 흰색 면과 녹색 방수페인트 면의 온도 차이가 확연하다. 홍인택 기자 측정 결과, 볕이 가장 뜨겁던 오후 2시의 옥상 표면 온도는 18도가량 차이났습니다. 흰색 면의 경우 최저 3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 및 지방시대위원장에게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를 마친 뒤 환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자진 사퇴하면서 대통령실은 2주간 이어진 야당의 공세에서 당분간 벗어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동시에 장관 후보자들과 공직자의 인선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된 만큼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 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같은 비판을 의식한 듯 “인사 검증 시스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힌 대통령실도 하루 만에 “인사 검증에 엄정함을 갖추겠다”며 자세를 낮췄다.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관련 브리핑 도중 “인사 검증 절차에 조속함과 함께 엄정함을 조금 더 갖추겠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인사 검증 절차를 꼼꼼히, 엄밀히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를 찾기 위해 조금 더 철저한 노력을 해야 하지 않나 살펴볼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강 대변인의 발언은 전날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의 사퇴를 발표할 때와 다소 차이가 있다는 평가다. 22일 ‘내란 옹호’ 저술로 논란을 빚은 강 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사실을 밝힌 강 대변인은 인사 검증 시스템과 관련해선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검증 시스템에서 보지 못했던 예상 밖의 문제가 발견된 것”이라며 “인수위 없는 정부로서 사후적으로라도 검증의 한도를 넘는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 이 부분에 대해서 책임을 지는 태도에 대해서 주목해줬으면 한다”며 시스템의 자체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낙마에 이어 강 비서관도 사퇴한 데다 강 후보자 역시 ‘현역 불패’ 공식을 깨고 사퇴하면서 인사 검증의 미흡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권에선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