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1면이 그날 신문사의 얼굴이라면, 1면에 게재된 사진은 가장 먼저 바라보게 되는 눈동자가 아닐까요. 1면 사진은 경향신문 기자들과 국내외 통신사 기자들이 취재한 하루 치 사진 대략 3000~4000장 중에 선택된 ‘단 한 장’의 사진입니다. 지난 한 주(월~금)의 1면 사진을 모았습니다.■ 주말에 열린 국무회의...김민석 총리 첫 참석 (7월7일) 31조8000억 원 규모의 추가 경정 예산안을 심의·의결하는 국무회의가 토요일인 지난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렸다. 취임 후 처음으로 국무회의에 참석한 김민석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 오른쪽에 앉아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토요일인 지난 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1인당 최고 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곧 시작될 전망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새 정부의 첫 추경”이라며 “이번 추경은 매우 어려운 국민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긴급하게 편성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하루라도 빨리 집행돼 국민의 삶에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해서 주말에 (국무회의를) 갑자기 열었다”며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가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7일 1면 사진은 주말에 열린 국무회의 장면입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 후 처음으로 국무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여러 사진 중 이 대통령 옆에 앉은 김 총리가 인사말을 하는 사진을 골랐습니다. 대체로 일정이 없는 토요일에 올라온 대통령실 사진을 보고, 주중에 올라왔던 사진이 오류로 다시 마감된 줄 알았습니다. 주 6일 일하는 ‘바쁜’ 대통령을 둔 덕에 월요일자 1면 사진을 잘 썼습니다.■ 덥다 못해 뜨겁다...서울 올여름 첫 ‘폭염경보’ (7월8일)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는 절기 ‘소서’인 7일 서울 남산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도심 풍경. 온도가 높은 빌딩은 붉게, 온도가 낮은 하늘과 숲은 파랗게 표시됐다. 이날 서울에는 올 첫 폭염경보가 발령됐다. 성동훈 기자 더위가 장난이 아닙니다. 올여름 폭염경보는 지난해보다 18일 빨리 발효됐습니다 입맛이 없다고 식사를 거르면 혈당 관리에 좋지 않다. 아침에는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 있는 음식을 적당히 먹어 공복 상태를 피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온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무더위와 갈증 등 다양한 요소로 혈당 조절이 어렵다. 규칙적인 수면, 균형잡힌 식습관 등과 같은 건강한 생활습관이 특히 중요한 때다. 여름철, 당뇨병 환자가 주의해야 할 관리법에 대해 알아본다. ◇입맛 없다고 굶으면 안 돼무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에는 고온 탓에 입맛이 뚝 떨어지기 십상이다. 입맛이 없다고 끼니를 거르면 혈당 관리에 좋지 않다.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준엽 교수는 “식사를 거르면 다음 끼니에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된다”며 “규칙적으로 식사해야 호르몬 주기 등 생체 리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혈당 관리에도 좋다”고 말했다. 당뇨병 환자라면 특히 아침 식사를 챙겨 먹어야 한다. 아침에는 수면으로 오랫동안 공복을 유지해 혈당이 낮은 상태인데, 이때 혈당지수가 높은 음식이 갑자기 들어오면 혈당이 급격히 올라간다. 밤새 간에서 만들어 낸 혈당과 뱃살에서 나오는 지방산으로 버틴 몸이 아침에 들어온 음식물을 빨아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침에는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 있는 음식을 적당히 먹어 공복 상태를 피하는 게 좋다.◇혈당 상승의 주범… 탄산음료와 과일여름은 시원한 탄산음료, 과당 함량이 높은 과일 등을 쉽게 접할 수 있기에 혈당 조절이 어려워진다. 음료수와 과일로 인한 혈당 증가도 문제지만, 이에 따른 소변량도 증가해 갈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준엽 교수는 “여름철에 갈증이 생긴다면 되도록 생수를 마시고, 탄산음료보다는 저당 스포츠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과일은 하루 섭취량을 미리 정해두고, 식사 직후처럼 혈당이 급상승하는 시점은 피하는 것이 좋다. 과일보다는 당분이 없는 오이, 토마토 등의 채소로 대체하는 것도 방법이다.혈당을 위해서는 스트레스도 잘 관리해야 한다. 몸에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우리 몸은 곳곳에 포도당을 더 많이 보낸다. 이로 인해 혈당이 일시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