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재)인천서구문화재단 지역특화 문화예술교육 공모사업 '서로-예술노리' 포스터 (재)인천서구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2025 기초단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지역특화 문화예술교육 공모사업 '서로-예술노리'를 본격 추진한다.이번 사업은 서구를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 인구 특성과 생애주기에 맞춰 기획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역 예술강사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이번 공모사업은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획된 참여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서구문화재단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서구 문화예술교육 방향 찾기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했으며, 총 910명의 구민이 응답해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대를 보여주었다.이와 함께 권역별로 사전 신청을 받아 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라운드테이블'도 대면으로 운영되었다.이번 서로-예술노리 공모사업은 이러한 설문조사 및 라운드테이블 결과를 토대로 기획된 권역/생애주기 맞춤형 사업이다. 예술강사들은 해당 자료에 기반해 자신만의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운영할 수 있다.올해는 권역별 특성과 수요에 따라 각 지역으로 직접 찾아가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공모를 통해 지역 예술강사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각 권역별 운영됨에 따라 지역주민의 접근성과 효과성을 한층 높인다.공모에 선정된 지역 예술강사에게는 강사비, 재료비, 기획개발비, 성과공유회비용 등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지원이 제공된1권역(연희·검암·경서·공천·백석·시천·심곡)은 중장년, 2권역(청라)은 청소년,3권역(가정, 신현, 원창)은 청년,4권역(석남과 가좌)은 시니어,5권역(검단·오류·불로·당하·원당·아라·대곡·마전·왕길)은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이 기획될 예정이다.공모는 오는 27일까지 접수 받으며, 선정된 프로그램은 8월 중 기획개발 과정을 거쳐 9월 참여자 모집을 진행하고, 10월부터 11월까지 각 권역 내에서 5회차에 걸쳐 운영된다.자세한 공모 내용은 인천서구문화재단 홈페이지(www.iscf.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최상철 기자 csc@kihoilbo.co.kr 음식을 배달하는 배달원(라이더)들의 모습. <연합뉴스> 배달앱 혹시 자주 쓰시나요? 그렇다면 아마 ‘이중가격제’에 익숙하실 거예요. 매장에 직접 가서 음식을 먹을 때와 배달앱에서 주문할 때의 가격이 다른 현상을 말하는데요. 이런 이중가격제는 최근 1~2년 사이에 아주 익숙한 일이 됐어요.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이 다르게 책정되는 이유는 배달앱 수수료와 배달 요금이에요. 아무래도 배달앱으로 주문을 받으면, 남는 돈이 적어지니까요. 특히 지난해부터 주요 배달앱들이 경쟁적으로 무료 배달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음식점들의 수익성은 더 악화했다고 해요.무료 배달, 왜 시작된 거야?지난해 쿠팡이츠가 1400만 명에 달하는 쿠팡 유료 멤버십 회원에게 무료 배달을 제공한 게 중요한 전환점이 됐어요. 이미 쿠팡을 통해 유료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쿠팡이츠가 ‘무제한 무료 배달’을 도입하자, 업계 1위인 배달의민족과 경쟁 업체인 요기요도 가만히 있을 수 없었던 거예요. 배민과 요기요도 무료 배달 비중을 늘렸고, 무료 배달 등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회원제 상품을 저렴하게 제공하기 시작했어요. 이후 배달앱 시장에서는 멤버십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무료 배달 경쟁’이 펼쳐졌어요. 당연히 업체들의 마케팅 비용 부담이 커졌고요. 이후 배달의민족은 음식점에 적용하는 중개수수료율을 6.8%에서 9.8%로 올리는 등 수익성 개선에 나섰어요. 결국 음식점이 내는 돈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던 거죠.어쩔 수 없이 음식점들은 배달 음식의 경우 값을 더 비싸게 받기 시작했어요. ‘무료 배달’이라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잖아요. 음식값에 배달비나 중개수수료가 포함되기 시작한 건 어쩌면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어요.그런데 뭐가 문제야? *2023년 기준 우리나라는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나라예요. 이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아주 크죠. 2023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자영업자 비율은 2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7위에 해당했어요. OECD 평균(16.6%)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고, 우리나라보다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6개국 중에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큰 나라는 멕시코뿐이었어요. 그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