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 '고려인 청소년과의
재외동포청 '고려인 청소년과의 대화' (서울=연합뉴스) 4일 인천 연수구 재외동포 웰컴센터에서 열린 재외동포청 주최 '고려인 청소년과의 대화' 간담회에서 이상덕(앞줄 왼쪽서 3번째) 청장을 비롯해 고려인 관련 단체 관계자, 고려인 청소년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재외동포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은 4일 인천 연수구 재외동포 웰컴센터에서 고려인 청소년 30여 명을 초청해 '고려인 청소년과의 대화'를 개최했다.이번 간담회는 러시아와 중앙아시아(CIS) 지역에서 태어나 성장한 뒤 부모와 함께 한국에 중도 입국한 고려인 청소년들이 겪는 정착 과정의 어려움을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경기도 안성시 로뎀나무 국제대안학교(이사장 소학섭)에 재학 중인 고려인 고교생들과 함께 안성교육지원청, 아시아발전재단, 고려인 글로벌네트워크(KGN), 경희대 산학협력단, 고려인 청소년교육협의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참석한 학생들은 언어, 문화, 교육, 진로 등 여러 측면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차별 경험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으며, 실질적인 지원과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김안나 학생은 "다른 한국 학생들처럼 평범하게 학교에 다니고 공부하고 싶은데, 낯선 환경과 차별적인 시선 때문에 위축될 때가 많다"고 말했다.로뎀나무 국제대안학교 졸업 후 모교에서 교사로 재직 중인 이서현 씨는 "정착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어디에 도움을 청해야 할지 몰라 답답했다"며 "오늘과 같은 간담회에서 우리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큰 위로가 된다"고 전했다. 인사말 하는 이상덕 재외동포청장 (서울=연합뉴스) 4일 인천 연수구 재외동포 웰컴센터에서 열린 재외동포청 주최 '고려인 청소년과의 대화' 간담회에서 이상덕 청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재외동포청 제공] 이날 간담회에서는 정부 정책에 대한 바람도 제시됐다. 채예진 KGN 이사장은 "한국에 정착하려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조남철 아시 뮤지컬 <팬텀>은 기형적인 얼굴의 팬텀을 오랫동안 지켜보며 지원한 극장장이 팬텀의 친부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극장 뮤지컬에서는 보기 드문, 본격 부자 서사로 확장된다. /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할아버지의 재력, 엄마의 정보력, 아버지의 무관심’은 여전히 유효할까? 2010년 전후, 입시 경쟁 필승의 조건으로 회자했던 이 우스갯소리는 들여다볼수록 냉소적이다. 아버지는 단순한 매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어야 한다. 말하지 않고, 개입하지 않고, 부자 아버지에 기대 자녀에게 고스란히 그 후광만 전달하는 게 왕도라는 의미다. 최근 연이어서 본 네 작품 속 다양한 부성(父性)은 적어도 ‘무관심’은 지양한다. 오히려 무엇이든 함께하려 애쓴다. 아버지들은 더 이상 단순한 매개가 아니다. 그들은 때때로 무너지기도 하지만, 결국 감정의 무게와 책임을 끝까지 감당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부성’을 구성한다.공감하고 수용하는 아버지들가스통 르루의 소설 <오페라의 유령>(1910)이 원작인 뮤지컬 <팬텀>(아서 코핏 극작, 모리 예스톤 작곡·작사, 박천휘 한국어 가사, 로버트 요한슨 연출, 기진주 협력연출, 마이클 슈바이카트 무대, 김문정 음악)은 일그러진 얼굴로 태어나 오페라 하우스 지하에 숨어 살아온 팬텀(박효신·카이·전동석 분)이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크리스틴(이지혜·송은혜·장혜린 분)을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다. 같은 원작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과 기본 구도는 유사하지만 큰 차이가 있다. <오페라의 유령>은 주인공 팬텀이 끝까지 판타지로 존재하는 열린 결말이다. <팬텀>은 2막에 주인공 팬텀의 부모세대 이야기를 완성도 높은 발레극으로 연출하면서 팬텀의 어린 시절 트라우마, 아버지 카리에르(민영기·홍경수 분)와의 관계를 심도 있게 조망한다. 일찍 모친을 여의고 기형적 얼굴로 살아가는 팬텀을 지켜보기만 했던 아버지 카리에르는 팬텀이 사람들을 피하다 총탄에 맞은 후에야 제대로 아들과 소통한다. 사랑하는 크리스틴에게 거부당한 팬텀은 실망해 거리를 떠돌다 경찰에게 잡히고 카리에르는 평생 외면했던 아들의 마지막 소원인 존엄을 지켜주기 위해 총을 겨눈다. 침묵으로 일관한 죄책감을 공감과 동조로 바꾸는 부성의 회복이 작품의 핵심이다. 아들을 보내면서 부르는 작품의 대표 넘버 ‘넌 내 아들(You are My Own)’은 뮤지컬에서 보기 드문, 아버지의 비통함과 후회가 가득
재외동포청 '고려인 청소년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