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케
케어케이션을 대표하는 카테고리로 자리잡은 의료관광 / 사진=크리에이트립 인바운드 여행 플랫폼 크리에이트립이 올해 상반기 인바운드(외국인 관광객 방문) 여행 트렌드로 ‘케어케이션(Karecation)’을 발표했다. 케어케이션은 한국을 뜻하는 ‘K’와 관리를 뜻하는 ‘케어(Care)’를 결합했다. 휴가를 의미하는 ‘베케이션(Vacation)’을 조합한 새로운 용어다. 미용·의료 시술을 아우르는 K-라이프케어 전체를 체험하려는 외국인들의 한국 여행 패턴을 설명한다. 크리에이트립이 선정한 2025년 상반기 인바운드 여행 트렌드 / 사진=크리에이트립 크리에이트립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3% 뛰었다. 카테고리별 거래액 상승률을 보면 의료관광(207%)이 1위, 헤어(147%로) 2위, 뷰티(45%) 3위를 기록했다. 거래량 상승률은 뷰티 84%, 의료관광 61%, K팝 49% 순으로 집계됐다. K-뷰티 수요 확대… 속눈썹·퍼스널컬러 진단 인기K-뷰티는 거래량과 거래액 모두 성장세다. 상반기 기준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고 거래액도 45% 늘었다. 헤어 관련 상품은 전년 대비 147% 급증하며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커트와 염색 같은 기본 시술은 물론, 스타일링, 케라틴 클리닉 등 기능성과 맞춤형 요소를 갖춘 상품들이 외국인의 선택을 받고 있다.눈에 띄는 지점은 속눈썹 시술, 네일 아트, 퍼스널컬러 진단 등 디테일 케어 중심의 콘텐츠가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짧은 시간 안에 체험할 수 있고 한국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 중인 트렌드를 외국인들도 즐긴다는 해석이 가능하다.크리에이트립 단독 예약 상품으로 입점한 비건 팩클렌저 브랜드 ‘휩드(Whipped)’는 이 같은 흐름을 잘 보여준다. 런칭 직후 뷰티 카테고리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한국에서 직접 만들어 구매하는 K-뷰티 경험을 추구하는 외국인 고객층의 수요가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피부과·시력교정술 인기…의료관광 2배 넘게 성장 해당 이미지는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 사진=언 달걀에 코티지치즈를 넣은 레시피 [SNS 캡처]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고단백’ 유제품 시장에서 코티지 치즈(Cottage Cheese)가 그릭 요거트(그리스식 요거트)의 인기를 잇는 아이템으로 떠오르고 있다. 고단백 유제품 중에서도 열량이 낮아 특히 체중감량 식단에서 주목받는다.미국 농무부(USDA) 자료에 따르면 코티지 치즈 100g의 단백질은 11.6g이다. 그릭 요거트의 단백질 함량(8.7g)보다 많다.열량은 103㎉다. 대부분 300㎉대인 다른 치즈보다 크게 낮다. 지방(4.3g)과 탄수화물(4.7g) 함량도 적은 편이다.담백한 맛에 색은 리코타 치즈처럼 하얗다. 질감은 콩비지와 비슷하다. 부서지듯 고슬고슬한 식감이다. 미국 코티지 치즈 시장 성장세(왼쪽), 구글 검색량 증가 추이 [NielsenIQ, 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Google Trends] 다른 치즈보다 가공을 최소화한 것도 특징이다. 코티지 치즈는 가열한 우유를 응고시킨 후 유청을 제거한 생치즈다. 오랜 숙성 과정을 거치지 않아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다.만드는 법은, 우유를 하얀 막이 생길 때까지 약불로 끓인다. 레몬즙이나 식초를 넣는다. 우유 덩어리가 생기면 남아있는 물기(유청)를 면 보자기 또는 체에 거른다.코티지 치즈는 특히 글로벌 푸드 트렌드를 이끄는 미국 시장에서 인기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코티지 치즈는 미국에서 ‘단백질 보충 식품’으로 유행이다. 실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닐슨(Nielsen) 조사 결과, 작년 미국 식품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기록한 식품군은 1위 그릭 요거트에 이어 코티지 치즈가 2위를 차지했다.코트라 시카고 무역관 관계자는 트렌드보고서에서 “(코티지 치즈가) 식사뿐 아니라 고단백 간식으로도 주목받는다”며 “그릭 요거트의 새콤함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SNS에 올라온 코티지 치즈 레시피 [틱톡 캡처]
케어케